주식투자

증감률(상승률, 하락률, 전일비) Percentage Change 구하는 법

Kislog P&I 2020. 12. 29. 17:07

증감률은 과거의 값을 기준으로 현재의 값이 얼마나 커졌는지, 작아졌는지를 퍼센트로 나타낸 값이다. 주식에서는 전일비 또는 증감률이라 한다. 주식에서는 어제의 종가 대비 오늘의 가격이 얼마나 커지고 작아졌는지를 나타낸다. 증감률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기본적으로는 증가분(새 가격 - 원래 가격)을 먼저 구하고, 이 증가분을 원래 가격으로 나누는 순서로 구한다.

 

증분(Increase) = 새 가격(New Price) - 원래 가격(Original Price)

증감률(Percentage Change) = 증분(Increase) / 원래 가격(Original Price) * 100 (%)

(외울 때는 원래 가격으로 빼고, 원래 가격으로 나눈다!라고 외운다.)

 

이것을 실제 주식창에 적용해보면, 현재를 기준으로 원래 가격은 어제 종가가 된다. 그리고 장중에는 지금 시시각각 변하는 현재의 가격이 새 가격이 된다. 만약 장이 끝났다면 오늘의 새로운 종가가 새 가격이다. 표로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새 가격 원래 가격
장중일 때 현재 시가 어제 종가
장이 끝났을 때 오늘의 종가 어제 종가

 

증감률 공식을 다르게 표현해보면 다음과 같다.

 

증감률 공식 : [(New Price - Old Price)/Old Price]

오늘의 증감률: [(오늘의 가격 - 어제 종가) / 어제 종가]

현재의 증감률: [(지금 가격 - 어제 종가) / 어제 종가]

 

 

 

삼성전자의 2020-10-05 ~ 2020-10-12 데이터로 증감률을 구해보자. 지금 7만원이 훌쩍 넘는 삼전이 2달전만해도 5만원 후반때라니..

 

위 표에서 Code는 종목 코드, Close는 종가, Changes는 전일대비(증분), ChangesRatio는 전일비(증감률)다.

 

먼저 2020년 10월 6일의 증감률(전일비)를 구해보자.

2020년 10월 6일의 증감률은 10월 5일에 비해서 얼마나 올랐는지, 떨어졌는지를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10월 5일에 비해 10월 6일에는 얼마나 증가했는지(증분) 부터 구한다. 그리고 이를 10월 5일 가격으로 나눈다. 다시 말하면 원래 가격(10월 5일 종가)으로 빼고 원래 가격(10월 5일 종가)으로 뺀다.

 

10월 6일의 증분 = 10월 6일의 종가 - 10월 5일의 종가 = 59000 - 58700 = 300

10월 6일의 증감률 = 10월 6일의 증분 / 10월 5일의 종가 = 300 / 58700 = 0.005111 = 0.5111% = 0.5%

 

10월 6일의 전일비를 구하면 0.5111%이지만 위 표에서는 소수점 첫번째 자리까지 반올림하여 표기하므로 0.5%가 된다.

(주식창에서는 소수점 두번째 자리까지 반올림하여 표기하는 듯하다.)

 

위 표에서 보면 2020-10-06의 전일대비는 300, 전일비는 0.5%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틀린 것이 있다면 댓글로 알려주세요. 감사합니다.